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본량농협
BONRYANG NONGHYUP
충북도의 '못난이 김치'
지역 농산물 소비 활성화에 기여
값이 크게 떨어져 농민들이 수확을 포기하는 바람에 밭에서 상품성을 잃어가던 배추가 효자상품으로 탈바꿈해 주목받고 있다.
충북산 <어쩌다 못난이 김치> 얘기다. 배추 생산량 증가로 산지가격이 떨어져 농가들이 판로를 찾지 못해 출하를 포기하는 일이 잇따르자 충북도가 지역 가공업체를 통해 상품성이 떨어진 배추를 사들여 김치로 가공, 지난해 12월 출시한 브랜드다.
시장 반응은 기대 이상이었다. 출시하자마자 소비자들의 구매요청이 쇄도해 완판을 기록하고 해외 시장까지 넘보고 있다.
지난해 12월 한국외식업중앙회 외식가족공제회 온라인 판매 첫날, 못난이 김치 10t(10kg들이 1000상자)이 6시간 만에 동났다. 이어 전국 슈퍼마켓 유통망을 갖춘 GS더프레시와 100t 사전계약이 체결돼 판로는 한층 더 넓어졌다. 지금까지 계약된 물량만 200t을 넘길 정도로 인기는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못난이 김치가 인기를 끄는 것은 저렴한 가격에 맛도 좋기 때문이다.
못난이 김치 가격은 10kg 한 상자당 2만9000원으로 시중 김치(3만5000원 선)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높아 큰 호응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충북도가 도시농부 인력지원 등 지원책을 마련해 제조원가를 낮췄고, 예소담·이킴 등 충북 지역 내 유명 업체들이 김치를 가공·판매해 품질도 보장된다.
윤병학 예소담(김치생산업체) 대표는 “ 최소한의 생산 비용만 들여서 소비자들에게 기존 제품보다 30%가량 싸게 제공할 수 있는게 장점"이라며 "좋은 품질과 경쟁력 있는 가격뿐만 아니라 포장·스티커 등 차별화를 통해 상품성을 키워갈 것”이라고 말했다.
다양한 판로개척을 통해 농가 소득을 보장해주고, 국산 농산물을 저렴하게 제공하는 등 공정 가치의 선순환이 이뤄져 지역 농산물 소비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점이 인기의 또 다른 요인으로 분석된다.
합리적인 가격과 우수한 품질 덕분에 최근 해외 수출길도 열었다.
지난달 일본 유통업체인 에이산 예스 마트와 10t 수출 계약을 시작으로 베트남과 미국 진출도 앞두고 있다. 충북도 관계자는 “김치 판로를 확대하고 김치세계화 지원사업·농식품 상설 판매장 개설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못난이 김치 인기에 힘입어 충북도는 배추 외 다른 품목으로 대상을 넓혀나갈 예정이다.
우선 품위가 떨어진 사과를 상품화하기로 결정했다. 충북농협본부·충주거점단지유통센터 등과 판매방식 등을 논의하는 중이다. 이후 충북도에서 생산되는 감자·고구마 등 다른 품목으로 대상을 넓혀나갈 예정이다.
일각에선 배추 공급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사업의 지속성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배추값 등락폭이 클 경우 배추 수급이 어려워져 소비자들에게 안정적인 김치 공급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용미숙 충북도 농식품유통과장은 “봄·여름에 산지 농가와 계약 재배를 통해 차질없이 공급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배추 가격이 오른다고 해도 충북도 자체 지원 사업을 통해 시중가격보다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지민 기자
Copyright© 본량농업협동조합. All Right Reserved.